SNS 천재가 된 홍대리 장경아(엉뚱상상)
제1장 SNS 꼭 해야 하나 1. 제1장 SNS 이것 꼭 해야 하나? 1) SNS를 통해 구현되는 소셜 미디어가 사회적 현상이 된 상황에 대한 이해 2) 도구가 아닌 일상 3)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 습득 2. 소설 미디어의 장점 1) 다양한 정보 공유 2) 친근한 이미지 구축 3) 검색, 유입의 최적화 4) 홈페이지에 비해 고객과 소통하기 위해 읽을 사람을 배려하는 느낌으로 접근 3. Blog도 SNS 1) SNS의 베이스 캠프는 블로그 2) 기업만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SNS를 활성화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미디어가 블로그 3) 수동적 시청자나 독자가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적극적 주체로 변함 4) 자발적이면서도 쉽고 빠른 네트워크 형성 5) 전파된 콘텐츠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확산 6) 기업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의견, 불만을 공유할 경우 다른 사람에게 적극적인 행동 유발 4. Blog는 SNS의 전초 기지 역할 1)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통하고 공유하는중심지 2) 블로그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트위터를 통해 확산하는 노력이 필요 5.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 북의 특징 1) 블로그 : 미디어로서의 역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 이야기를 들려주는 곳 2) 트위터 : 마이크로 블로그로 소통의 장, 이야기의 유통 채널 3) 페이스 북 : 우호적인 관계를 돈독히 하는 장, 기존 관계에 기반, 장기적 안목으로 정보를 공 유하라. 페이스북은 지금도 진화중 6. 기업과 고객의 소통 1) 기업의 유리한 정보만 선별해서 소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 솔직하고 투명하게 전달하려는 노력 필요 2) 수직적 조직 문화가 수평적 공유문화로 바뀌어 직우너들의 아이디어와 다양한 노하우를 함 께 나누는 직접적 커뮤니케이션 가능 7. SNS 시작하기 1) 포탈 사이트 블로그 개설(다음, 네이버, 티스토리 등) 2) 트위터, 페이스북 개설 3) 반나절 정도면 기본 개설과 대략적인 특성과 운영 방식 습득이 가능 8. SNS 콘텐츠 작업에서 명심할 것 소셜 미디어 환경에맞는 스토리텔링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네티즌 스스로 찾아 읽을 수 있 는 이야기로 구성될 것
제2장 소셜 미디어 환경에 맞는 콘텐츠로 승부하라 1. 블로그 아이텐티티 구축 1) 블로그 네이밍 . 블로그 특징 결정 . 운영자 이미지 은유적 표현 . 기업 블로그의 경우 기업 정체성을 반영한 친숙한 네이밍을 결정 2) 카테고리 구성 . 명료하고 정리된 구성 . 카테고리 이름으로도 해당 구성 내용을 알 수 있도록 구성 3) 블로그 디자인 . 원하는 컨셉에 맞춘 디자인 . 스킨, 메인 페이지 구성, 폰트, 사진 사이즈 등 아이텐티티 구축 2. 블로그를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것 1) 꾸준한 운영 관리 . 관계 관리 . 기업 블로그 가이드 라인 구축 : 목적, 기획, 홍보 등 2) 블로그 글쓰기 ‣ 글쓰기의 방향 . 블로그 포스트의 방향성 인지(포스트-정포 게시물) . 블로그스피어에 맞는 콘텐츠 작성 (블로그스피어-상호연결의 장, 상호 연결된 가치 문화) . 블로그 스피어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주제 파악 . 기업과의 연계성 고려해서 주제 선정 ‣ 글쓰기에서 제목이 가장 중요하다 . 일방적으로 홍보하는 제목은 피하라 . 호기심과 관심을 유발하는 제목 . 복잡 난해하지 않고 쉽고 제미있게 다가갈 수 있는 제목 . 대화하는 듯한 형식의 제목 ‣ 글쓰기의 방향 . 주제를 분명히 하고 시작, 중간, 마무리를 먼저 구성 . 짧게 쓰는 기술 . 사례 중심의 공감할 수 있는 글 . 정보가 될 수 있는 이야기 . 호기심을 유도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 . 차별화 - 차별화된 소재, 진솔한 표현 . 오탈자 검수 (공개전 반드시 확인) . 팁 : 많이 읽고 많이 써보라
제3장 블로그 글쓰기 대표 사례 소셜 미디어 : 1인 미디어로 시작한 특성에 맞게 기업이나 기관 홍보가 아닌 네티즌이 원하는 정보 제공이 필요 ⁂ 블로그 글쓰기 이것을 명심하라 1) 많은 사람들과 공감할 수 있는 글인가? 2) 일상 생활 이야기 중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위주로 작성되었는가? 3) 호기심을 유도하거나 유익한 정보 중심의 제목으로 작성 되었는가? 1. 문광부 정책 공감 포스트 사례 ‣ 제목 : 운전 면허 시험 간단해진다는데 직접 체험해 보니 . 시의적적한 키워드 사용 . 변경 정보를 체험을 통해 전달 . 변경된 사항을 순서대로 작성하여 궁금증 해소 2. 행복누리 블로그 ‣ ‘연평도 인근 점박이 불범 현황’이라는 보도자료를 블로그로 옮기며 ‘아마존의 눈물’이라는 키워드 사용 ‣ 점박이 물범을 1인칭화하여 자료를 재구성 3. 한화 데이즈의 포스트 제목들 ‣ 40대 부장님의 스마트폰 탐구생활 . 남녀 탐구생활의 포맷을 차용, 웹툰처럼 사진을 구성 ‣ 40대 부장님의 트위트 생활 백서 ‣ 40대 부장님의 페이스북 달인 도전기 ‣ 40대 부장님의 자화자찬 SNS 종결기 4. 한화 데이즈의 포스트 사례 ‣ 제목 : 직장인의 새해 소망은 직급별로 어떻게 다를까? . 회사 통계 자료를 활용해 일반적인 사례로 가공 . 이미지화, 스토리텔링화 5. 스포츠 둥지 ‣ 제목 : 무릎을 구부릴 때 두두둑 소리가 난다면 . 팀 블로그 형식 . 무릎 통증 경험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두두룩이라는 의성어 사용 . 실증적인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 . 댓글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제2, 제3의 포스트도 가능 . 설득력 극대화, 소통의 표현 6. 2000가지 행복(이천시 블로그) ‣ 이천시 직원들이 필진으로 참여 ‣ 제목 : 대형 마트엔 없고 전통시장에만 있는 매력 ‣ 직접 경험한 일상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 7. 화사함(화성시 불로그) ‣ 화성시 직원들이 필진으로 참여 ‣ 제목 : 1등 신랑감 공무원 장가 못간 사연을 들어 보니 ‣ 공무원 노총각을 소재로 삼아 공감을 주는 글 ‣ 설득력을 지닌 가볍고 친근한 문제로 접근 8. 서울 매니아(서울시 블로그) ‣ 제목 : 냉장고 요금 줄이는 아주 쉬운 3가지 방법 ‣ 서울시 캠페인 시민 실천과제를 정보성 기사로 재가공하여 생활 정보 형식으로 재구성 9. 다독다독(한국 언론 재단 블로그) ‣ 제목 : 슬픈 사연을 간직하고 있는 이진아 도서관 . 이색적인 도서관 시리즈 기획 . 도서관 개관의 숨겨진 사연 소개
제4장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새로운 세상을 열다 1. 트위터와 페이스북 가입 절차(생략) 2. 트위터 용어 ‣ tweet, mention : 트위터에 올리는 140자 이내의 단문 메시지 ‣ follower : 내가 올린 트위을 받아 보는 사람 ‣ following : 내가 다른 사람이 올린 글을 구독 신청하는 것 ‣ 리트윗(RT) : 내가 받은 트윗을 나의 팔로워들에게 재전송하는 것 ‣ 맞팔(맞팔로우잉) : 나를 팔로우잉하는 사람을 팔로우잉해서 서로 상대방의 글을 읽을 수 있 는 관계를 맺는 것 3. 페이스북 용어 ‣ 뉴스피드 : 모든 글, 친구들의 활동이 실시간 업데이트 되는 곳, 페이스 북 메인 페이지 ‣ 담벼락 : 본인의 이야기, 사건, 영상 등을 업로드, 정보 공유 공간 ‣ ‘좋아요‘ (공감 표시 기능) : 글이나 사진 등이 자신의 페이스 북 뉴스피드에 전달 ‣ 친구 찾기 기능 : 이름, 출신 학교, 직장 등 입력 ‣ 팬 페이지 : 기업이나 제품 등을 홍보할 수 있는 기업용 페이스 북, 친구 제한이 없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적용 가능 4. 트위터 운영 이것이 중요하다 ‣ 마음을 담아야 한다. ‣ 정보성과 공익성을 갖춘 맨션 작성하기 5. 주목받는 트윗 만들기 ‣ 트위 길이는 100자 이내로 작성하기(링크 주소는 shortrn하기 ‣ 스스로 많이 RT하고 우호적인 네트워킹을 유지하여 영향력 있는 팔로우에게 RT 부탁 ‣ 따근따근한 뉴스 보내기 ‣ 정보의 출처 제공하기
|
'Culture(見) > 미디어 抄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15분 정리의 힘(윤선현著 VOD 요약) (1) | 2012.07.09 |
---|---|
누구나 쉽게 이해하는 사진 강의 노트(VOD 요약) (0) | 2012.05.29 |
멈추면 보이는 것들(VOD 발췌 요약) (0) | 2012.05.04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VOD 요약) (0) | 2012.04.06 |
백마디를 이기는 한마디 (올레 TV - VOD 요약) (0) | 201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