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1. 한국 성인 44%가 고지혈증을 갖고 있으며 이는 뇌졸중과 심장마비의 주범이다.
2. 콜레스테롤의 순기능 : 세포막 형성, 성호르몬 생성, 비타민D 생성
3. 일반인은 2년에 1번 검사, 고지혈증 환자는 3-6개월에 검사
4. 콜레스테롤의 가이드 라인
구 분 |
정상 수치 |
이상적인 수치 |
비 고 |
저밀도 |
160 미만 |
100 미만 |
관리 중요 |
고밀도 |
40 이상 |
60 이상 |
|
중성 지방 |
200 미만 |
150 미만 |
|
5. 주요 사항
1) 저밀도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2) 체중 조절로 관리가 가능하다 - 3kg만 빼라.
3) 섬유소가 많은 과일 채소를 많이 먹어라.
4) 음식에 들어 있는 포화지방이 문제다 - 상온에서 고체가 되는 기름 기(삽겹살, 소고
기, 아이스크림 등 동물성 유지방이 나쁘다. 일반 우 유 100g에 지방 6-8g, 저지방 우
유는 2-3g이다.)
5) 지방은 에너지의 7% 15g 정도만 먹어라.
고기 등심 100g에 14g, 삽겹살 100g에 20g이고, 음식에서 20% 섭취하고 내 몸에
서 80% 만든다.
6. 중성 지방 우리 몸의 에너지원
LDL : 육류 섭취가 문제
중성지방 : 탄수화물, 술 섭취가 문제
7. HDL 높이는 방법
1) 체중 감량 - 3kg
2) 운동 -1주일에 30분씩 5회 이상 - 5% 증가
3) 적당량의 음주 : 하루 1잔(와인은 1/3 잔)
4) 좋은 기름 먹기
o 좋은 기름 - 오메가3 : 등푸른 생선, 들기름, 견과류
오메가9 : 올리브유, 카놀라유, 아보카도유
o 나쁜 기름 : 콩, 옥수수, 해바라기유, 면실유, 홍화씨유
8. 약물요법
1) 스타딘 : LDL 50% 감소, 중성지방 30% 감소 HDL 증가
2) 피르산 유도체 : 중성지방 30 -50% 감소
3) 니코틴스 : HDl을 높임
⁂ 부작용 : 근육병증, 간기능 저하 등등
9. 기타
1) 동맥경화가 잘 생기는 혈관 : 뇌 - 뇌졸중, 심장 - 협심증, 심근 경색
2)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 : 나이
3) 고구마 : 당지수가 낮고 섬유소가 많으나 중성지방을 높인다.
4) 오메가3 : 중성지방만 감소시킨다. 고지혈 조절제가 아니다. LDL은 감소시키지 못
한다. 등푸른 생선도 1주일에 2토막만 먹어라.
5) 레드 와인 : 폴리페놀 성분이 약간의 효과는 있다.
TV 조선 닥터 콘서트에서
'Scenery(景) > 日常...世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라이 팬 길들이기와 관리 (0) | 2013.04.29 |
---|---|
월동을 위해 실내로 들어온 식물 가족 (0) | 2011.12.20 |
실내 화초 10선 (0) | 2011.12.12 |
오탁번 교수님을 찾아 뵙고... (0) | 2011.11.19 |
친구가 가르쳐준 밑반찬 만들기 (0) | 201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