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성이란 무엇인가?
윤정구
제1장 진정성 있는 리더
1. 핵심 주제
1) 진정성에 대한 철학적 배경
2) 진정성 있는 리더를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
3) 진정성 있는 리더 : 진성 리더, Authentic 리더
4) 21C 화두인 진정성을 갖춘 리더
2. 진성 리더와 유사 리더
미래, 조직, 개인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약속) |
↑ |
공상가 |
진짜 리더 가짜 리더 | ||
|
| ||||
????? |
행동 대장 | ||||
|
|
|
|
|
→ |
|
|
실천력, 현실구현 능력(실행) |
1) 진짜 리더와 가짜 리더의 구분은 진정성이냐? 성실성이냐에 있다.
2) 가짜 리더는 치기 성실성으로 무장 연출하여 주변 사람에게 비전과 실천력을 제 시하고 얻고
자 하는 바를 얻으면 떠남
3. 진성 리더
1) 진실성 : 자신에게 솔직한가?, 자신에 대해 속임이 없는 상태
2) 진성 리더는 자신에 대한 솔직함을 기반으로 주변 사람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그 비전을 구
현해 내려고 실천한다.
3) 진정성을 갖춘 리더는 자신의 품성을 기반으로 비전 제시와 실천력의 스킬은 물 론 소통 능
력, 의사 결정 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4. 가짜 리더
1) 비전과 실천력은 목적 달성을 위해 세련되게 구사한다.
2) 목적을 감추기 위해 자신에 대해 거짓말을 하며 주변인에게 성실성을 가장한다.
3) 목적이 달성되면 주변 사람들을 버리고 따나는 사람이다.
제2장 진정성 있는 리더
1. 사명감이 핵심
1) 일반적 리더도 비전 제시는 중요시한다.
비전 : 자신의 미래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리는 것
2) 진정성 있는 리더는 비전을 궁극적인 목적을 이루는 수단으로 인식
비전보다 중요한 것은 목적 의식
3) 최종 비전 :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명, 비전은 사명에 이르는 수단적 가치
사명 : 살아남은 내가 하나님께 들려준 스토리. 세상에 존재하는 궁극적인 이유 - 따뜻하고 건
강하고 행복한 세상이 되게 하는 것.
4) 진정성을 가진 리더는 명료한 사명하에 중간 기착지인 비전들을 잘 정렬하여 비 전 경로를 이
끌어 나가는 사람이다.
2. 사명의 중요성
1) 예> 3명의 성공 이야기 : 강제 노역 / 먹고 살려고 / 신성한 성당 건축 기여
2) 사명감이 없는 직업인은 단순한 월급쟁이에 불과하다.
3) 사명감을 가진 사람이 경쟁력을 보유한다.
4) 사명은 위대한 리더만 가지는 것이 아니다.
3. 일반 리더와 진성 리더
1) 전자는 비전에 올인, 후자는 사명에 올인한다.
2) 비전은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중간 기착지일 뿐이다.
3) 최종 목적지에 대한 정확한 그림을 갖고 있을 때 비전의 경로도 제대로 세울 수 있다.
4) 사명을 기반으로 현재 비전을 부각시키는 능력이 핵심 포인트이다.
제3장 진정성 있는 기업 운영
1. 진정성의 대두
1) 21세기를 장악할 화두언어 1위 - 2011년 타임지 조사
2) 진정성은 선택의 개념이 아니라 보편적 개념이며, 생활 속의 기본적 토대로써 정 착되어야 할
개념이다.
3) 정치인의 선택 기준 : 진정성 있는 스토리가 있는가?
2. 대두가 된 배경
1) 자본가의 탐욕 회계 장부 조작
2) 회사의 진정성은 회계 장부에서 드러남
3) 2001년 Enron 사태로 인해서 회계 장부의 투명성을 검증하기 위한 사베인스 악 슬리법 제정
4) 2002년 진정성 문제로 무너진 회사 : 아델피아, 케이마트, 월드컴 등
5) 2010년 리먼브라더스가 무너짐
6) 탐욕스런 자본가가 주장하는 자본주의 3.0 ⇉ 시장 경제, 시장에서 이익이 도출 되면 검증된
것으로 주장
7) 자본가의 탐욕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월스트리트 시위로 연결
8) 자본주의 3.0 시장 경제 체제가 무너지고 자본주의 4.0 시대 도래 -칼레스키 주 장. 제포스,
P&G, 스타벅스, 제록스, IBM 등
공통점 : 진정성을 갖춘 리더가 운영
9) 자본주의 4.0 시대 : CEO가 진정성이 없으면 안 됨.
3. 산업의 변화 (산업의 재편성 과정)
제 품 |
→ |
서비스 |
→ |
체험 |
<예> 자동차 (플랫폼, 기반) |
|
네비게이션, 수리 등 (파생 서비스 창출) |
|
SNS를 이용하여 자신의 체험을 무작위로 공유 (피드백, 공감,성장) |
4. 판단 기준
1) 품질에서 진정성으로 전환
2) 체험의 진정성 공유
3) 진정성 없는 회사의 우녕은 체험의 진정성을 오염시킴
4) 진정성 있는 회사 운영과 체험 제공은 자본주의 4.0시대의 패러다임 마련
제4장 진정성에 대한 오해들
진정성 있는 리더는 스토리를 삶의 현장에서 실제로 구현하는 사람
1. 완성된 도덕군자를 말한다는 오해
1) 진성 리더는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
2) 록펠러, 카네기 : 악덕 기업주로 출발, 자기성찰을 통해 미래의 스토리를 현실에서 구현
3) 진성 리더는 자신의 스토리를 구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학습하며 노력하는 사람 (설사 어제
감옥에서 출소했어도 미래의 스토리를 설정, 구현하기 위해 오래도록 끊임없이 공부하고 노
력하는 사람)
2. 비전만을 중시한다는 오해
1) 비전이라는 중간 기착지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될 목적지에 대해 정확 히 알고 있는
사람
2) 설정한 비전이 제대로 수립되었는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사람
3) 진성 리더는 사명 수립 후 중간 기착지로서의 비전을 설정
3. 기존 리더십을 부정한다는 오해
1) 진정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리더십 스킬의 오용에 대한 비판
2) 리더십 스킬은 품성을 기반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
3) 선한 영향력의 행사
4. 마음씨 좋은 옆집 아저씨 모형이라는 오해
1) 리더십의 목적과 수단의 구분 필요
2) 좋은 성품을 가져도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마음씨 좋고 따뜻한 옆 집 아저씨에 불
과하다.
3) 품성은 리더십의 목적이 아니라 도구일 뿐, 품성만이 아니라 스토리를 가져야 한다.
5. 성과를 못 챙긴다는 오해
1) 진정성을 갖춘 리더는 스토리 있는 성과의 주인공이다.
2)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일반 리더보다 간기 성과에도 앞선다.
3) 장기적인 성과, 스토리에 올인할 수 있는 노하우를 기반으로 단기적 성과 산출
6. 조직의 맥락을 무시한다는 오해
1) 진정성을 이용하여 스토리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조직이 중요하다.
2) 좋은 조직에서 위대한 조직, 스토리를 갖춘 조직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3) 조직은 진성 리더가 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플랫폼 안에서 구성우너들 이 진정성 리
더십을 육성한다.
4) 하나의 나무들이 모여 숲을 이루는 결과를 가져온다.
'Culture(見) > 미디어 抄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은퇴(유튜브에서 초록) (0) | 2013.04.29 |
---|---|
죽기전에 한번은 유대인을 만나라(VOD 요약) (0) | 2012.10.04 |
에버노트 라이프(VOD 요약) (0) | 2012.09.25 |
결핍을 즐겨라 최준영 著(VOD 요약) (0) | 2012.09.05 |
건강한 까칠함으로 인간관계 성공하기(세바시- 양창순편 요약) (0) | 2012.08.21 |